합천군 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합천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합천군 덕곡면, 청덕면, 적중면, 대양면, 쌍백면, 삼가면, 가회면, 대병면, 용주면을 관할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1963년 산청군·합천군 선거구에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김효석, 최창섭, 김명수, 정길영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합천군의 정치 -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경상남도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선거구는 20대 총선 때 산청군·함양군·거창군 선거구에 합천군이 편입되어 신설되었으며, 강석진, 김태호, 신성범이 당선되었고 보수세가 강한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 합천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합천군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합천군의회 의원 선거에서 자유한국당이 다수당이 되었고 더불어민주당과 무소속 의원도 당선되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합천군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합천군 을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경상남도 |
연도 | 1948 |
폐지 | 1963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산청군·합천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합천군의 일부 지역(덕곡면, 청덕면, 적중면, 대양면, 쌍백면, 삼가면, 가회면, 대병면, 용주면)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산청군 선거구, 합천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산청군·합천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김효석 후보가 당선되었다.
3. 2. 1949년 재보궐선거
1949년 재보궐선거는 김효석 의원의 사임으로 인해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 무소속 최창섭 후보가 당선되었다.
3. 3.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의 김명수 후보가 당선되었다.
3. 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최창섭 후보가 당선되었다.
3. 5.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최창섭 후보가 당선되었다.
3. 6.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1960년에는 민주당 정길영 의원이 당선되었다.
4. 역대 선거 결과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효석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9,589 | 29.48 |
김명수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8,137 | 25.02 |
이원영 | 무소속 | 7,642 | 23.49 |
최창섭 | 무소속 | 7,152 | 21.99 |
합계 | 32,520 |
1949년 재보궐선거는 김효석 의원의 의원직 사임으로 인해 치러졌으며, 무소속 최창섭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명수 | 민주국민당 | 9,752 | 30.65 |
강홍열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5,835 | 18.33 |
최창섭 | 대한국민당 | 5,545 | 17.42 |
차경현 | 무소속 | 4,957 | 15.57 |
정기영 | 무소속 | 2,980 | 9.36 |
조점용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2,323 | 7.30 |
김광선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425 | 1.33 |
정용택 | 민주국민당 | 0 | 0 |
합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창섭 | 자유당 | 9,540 | 31.63 |
강홍열 | 무소속 | 7,021 | 23.28 |
정용택 | 무소속 | 4,942 | 16.39 |
노갑술 | 무소속 | 4,472 | 14.83 |
김명수 | 민주국민당 | 3,073 | 10.19 |
박인재 | 대한국민당 | 1,104 | 3.66 |
합계 | 30,152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창섭 | 자유당 | 28,416 | 82.73 |
정용택 | 통일당 | 3,753 | 10.92 |
변종봉 | 무소속 | 2,178 | 6.34 |
합계 | 34,347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정길영 | 민주당 | 4,467 | 12.71 |
변종봉 | 무소속 | 4,109 | 11.69 |
강석진 | 무소속 | 3,831 | 10.90 |
송근영 | 민주당 | 3,613 | 10.28 |
김삼상 | 무소속 | 3,127 | 8.90 |
김자일 | 무소속 | 3,046 | 8.67 |
허수 | 민주당 | 2,809 | 7.99 |
노기용 | 무소속 | 2,468 | 7.02 |
윤상현 | 무소속 | 1,877 | 5.34 |
구용우 | 무소속 | 1,851 | 5.27 |
이원홍 | 무소속 | 1,807 | 5.14 |
박인재 | 무소속 | 1,087 | 3.09 |
김을갑 | 무소속 | 527 | 1.50 |
박인범 | 민주당 | 502 | 1.42 |
합계 | 35,121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